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골드바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체/지식 2025. 5. 8. 08:05
    반응형

    최근 뉴스나 영화 등 여러 미디어에서 골드바에 대해서 심심치 않게 볼 수있는데, 오늘은 골드바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자.


    1. 골드바란
    골드바(Gold bar)는 정제된 순금을 주괴(네모난 덩어리) 형태로 만든 것으로, 자산 보존, 투자, 국가 보유금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가끔 뉴스 같은데 보면 미국이나 영국 은행 금고에 산더미 처럼 쌓인 골드바가 나오기도 한다.

    참고로 주로 순도 99.99%(24K) 이상의 금으로 만들어지며, 크기와 무게는 생각보다 다양한 편인데, 특히 우리나라는 금반지 한 돈, 이런식의 수요가 있어서 생각보다 형태는 다양하다 보는 것이 좋다.


    2. 국내/외 골드바 규격
    한국과 외국의 골드바는 동일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동일하지 않다‘가 정답이다.  상세 규격과 인증기간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국제 골드바 규격
    - Good Delivery Bar (국제 거래용 표준)
    - 무게: 약 400트로이온스 (약 12.4kg)
    -크기: 약 25.5cm × 7cm × 4.5cm (제조사마다 약간씩 다름)
    - 순도: 99.5% 이상
    - 인증: LBMA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 인증 필요

    ★ 우리나라의 골드바 규격
    - 무게 종류: 1g, 3.75g(1돈), 10g, 100g, 1kg 등 다양
    - 순도: 대부분 99.99% (순금, 외국 대비 순도가 높다)
    - 인증: 한국금거래소, 골드뱅크, KRX 금시장 인증
    - 크기: 무게에 따라 상이 (예: 1kg은 약 11cm x 5cm x 1cm 내외)



    3. 금붙이(골드바)의 간략한 역사
    골드바라 하면 너무 거창하고, 우선 금을 비싼금속으로 인식하고 썼던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우리나라도 신라 금관이 출토 되는 것을 보면 세계 여러 나라에서 금의 희소성과 가치를 자연스레 알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보기에도 찬란한 색깔을 뿜어내고 철 처럼 녹슬지도 않고, 게다가 망치질 등으로 모양을 잡을 수 있으니 보관이나 장신구 용도로 쓰기에는 적합했을 것 같다.

    - 고대 이집트: 기원전 2,000년경부터 금을 주화나 장신구로 사용
    - 로마 제국: 금 주화를 통한 통화 시스템 운영 (물론 제국이 쇠퇴하면서 금에 다른 성분을 추가해서 금 동전을 만들거나 은 동전을 사용하기도 했음)
    - 중세~근대: 금은 왕권과 신뢰의 상징이었고, 은행 간 국제 무역에서도 금괴 형태가 통용
    - 현대: 금본위제(금과 일정 국가의 돈의 가치와 연동 체제)가 폐지된 후에도 금은 여전히 신뢰자산으로 존속. 중앙은행들이 보유



    4. 국내외 골드바 인증 기관
    이번에는 국내외의 골드바 인증 기관을 확인해보도록 하자. 가장 영향력이 있고 중요한 기관은 LBMA라는 기관이고, 각 나라별로 인증하는 기관이 따로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 LBMA (London Bullion Market Association)
    세계 금 거래에서 인정받는 가장 중요한 기관.
    ‘Good Delivery List’에 포함된 정제소의 금괴만 국제 시장에서 신뢰를 얻음 (우리나라의 KRX는 해외로 나가면 다시 인증을 받아야함)
    - KRX 금시장 (한국거래소)
    국내에서 공신력 있는 금 유통망을 관리. 등록된 정제소의 골드바만 거래 가능.
    - 각국의 조폐공사/금거래소 : 미국의 퍼스민트(PERTH MINT), 캐나다의 로열캐나디안민트(RCM) 등



    5. 한국 골드바, 세계에서도 통용되는지?
    위에서 이야기 한 것 처럼 한국(KRX 등)에서 인증받은 금은 세계에 나가면 바로 통용되는지를 확인해보자. 쉽게 생각하면 LBMA인증을 갖고있는 한국 제조사는 바로 해외에 나가서 통용이 되지만, 그 경우가 아니라면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

    - 조건부 통용 : 한국산 골드바라도 LBMA 인증을 받은 정제소에서 생산되었다면, 국제적으로 통용되기는 함
    단, 국내 제조사 중 일부만 LBMA 인증을 받았기 때문에, 대부분은 국내 유통에 한정되는 경우가 많음
    - KRX 금시장 인증 골드바는 국내에서 세금 없이 거래되지만, 해외에서 직접 거래하려면 국제 인증이 필요함 (마치 약품이 미국 FDA 승인 받는거랑 비슷한 절차가 필요다 보면 됨)



    6. 왜 범죄 등에 골드바가 등장하는가?
    그럼 왜 뉴스를 보면 범죄 등에 골드바가 거론되는지 궁금할텐텐데, 쉽게 이야기하면 남 몰래 간편하게 이동하고, 저장할 수 있다는 특징이 크다. 자세히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익명성: 골드바에는 실명 기록이 없고, 소유자 추적이 어려움
    - 고밀도 자산: 1kg에 수천만 원 ~ 억 단위, 휴대와 은닉이 쉬움
    - 환금성: 전 세계 어디서든 금은 가치가 있고, 다이아몬드와 다르게 분할해서 팔 수도 있고, 형태도 다양하게 만들 수 있음
    - 법적 빈틈: 일부 국가에서는 금 거래 추적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경우도 있음


    나도 언젠가는 집안에 금고 하나 사 놓고 금괴를 꽉꽉 채워 보관하는 날이 오기를 기원하면서 2000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