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호텔 체인에 대해서 알아보자 (메리어트, 힐튼, 인터컨티넨탈, 아코르, 하얏트)전체/지식 2025. 5. 20. 04:30
세계적으로 유명한 호텔 체인은 다양한 고객층과 시장 세그먼트를 타겟으로 하여 여러 브랜드를 운영 중에 있다. 우리가 주로 듣는 메리어트, 힐튼 등은 이런 호텔 체인의 대표 주자이다.오늘은 주요 글로벌 호텔 체인과 그 대표 브랜드 및 포지셔닝을 알아보고자 한다.호텔 등급은 STR(Standard Research) 기준인 럭셔리(Luxury), 상위 업스케일(Upper Upscale), 업스케일(Upscale), 상위 미드스케일(Upper Mid-scale), 미드스케일(Mid-scale), 이코노미(Economy)로 구분 한다.혹시 5성급 등 호텔 등급이 궁금한 경우 아래 링크 Click 호텔등급에 대해서 알아보자 (5성급과 다른 등급 차이)우리가 여행을 갈 때 접하는 (5성급 등의) 호텔의 등급은 호텔의..
-
호텔등급에 대해서 알아보자 (5성급과 다른 등급 차이)전체/지식 2025. 5. 19. 09:25
우리가 여행을 갈 때 접하는 (5성급 등의) 호텔의 등급은 호텔의 품질, 시설,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등급 체계의 일부이다. 오늘은 호텔 등급에 알아보자.1. 호텔 등급 체계는 무엇인가?호텔 등급을 매기는 가장 큰 단위의 주체는 국가이고, 호텔 등급을 매기는 다른 주체로는 각 지역 또는 평가 기관(예: 미국 자동차 협회 AAA, 포브스 트래블 가이드, 미슐랭 가이드, 국가 관광청)등이 있고, 각 주체별로의 기준이 다소 다를 수 있다.그러나 일반적으로 (가장 낮은 등급인) 1성급은 기본적인 숙박 시설을, (가장 높은 등급인) 5성급은 최고급 럭셔리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텔을 의미한다. 등급은 객실의 크기, 편의시설, 서비스 품질, 식음료 옵션, 위치, 디자인 등을 종합적으..
-
21 언더 21에 대해서 알아보자 (빌보드, 포브스, 틴 보그, 타임즈 등)전체/지식 2025. 5. 18. 08:15
21 언더 21 (21 Under 21)은 정말 주목할 만한 젊은 인재들이 빛을 발할 수 있도록 조명해주는 특별한 리스인데, 대체 이 21 언더 21이 무엇인지 오늘 한 번 알아보자. 1. 21 Under 21 (21 언더 21)이란?21 Under 21은 21세 이하의 영향력 있는 청소년/청년 21명을 선정해 소개하는 리스트로, 여러 기관이나 미디어(예: Billboard, Forbes, Teen Vogue 등)에서 해마다 발표한다. 분야에 따라 예술, 음악, 과학, 사회 운동, 기술, 기업가 정신 등 다양한 영역의 인재들을 선정하는데, 21 Under 21을 선정하는 대표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기관들이 있다.- Billboard의 21 Under 21: 음악계에서 21세 이하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
-
초밥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7. 06:40
초밥(すし, Sushi)은 일본 요리 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대표 음식 중 하나다. 깔끔하고 정갈하면서도 재료 본연의 맛을 잘 살린 요리인데다, 중국이나 동남아 요리처럼 고수 등 향료를 거의 넣지 않아 남녀노소 인기가 좋은 음식 중 하나인데, 오늘 한 번 초밥에 대해서 알아보자.1. 초밥이란? 식초로 간을 한 밥(샤리) 위에 생선이나 해산물, 달걀, 채소 등(네타)을 얹은 일본 전통 요리이다. 날생선을 활용한 것이 많지만, 익힌 재료나 채식 기반의 초밥도 있다. 스시 체인점에 가면 달걀 초밥, 소고기 초밥 등 익힌 초밥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체인점에서는 참치나 소고기 등을 토치로 태워서 바로 접시위에 올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기도 한다.2. 초밥의 종류의외로 초밥의 종류는 여러..
-
FTA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6. 06:16
오늘은 일상생활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주는 FTA에 대해서 알아보자1. FTA란 무엇인가?FTA(Free Trade Agreement, 자유무역협정)는 특정 국가들 간에 상품이나 서비스, 투자 등에 대해 무역 장벽(관세, 수입 제한 등)을 줄이거나 없애기로 약속한 협정으로 볼 수 있다.즉, 각 나라 간에 무역을 보다 자유롭고 원활하게 하자는 것이 핵심 목적으로 볼 수 있다.2. 간략한 역사모든 일에는 시작이 있고, 흐름이 있을 수 밖에 없는데 FTA는 어떻게 시작되었고, 어떻게 흘러왔는지도 함께 확인해보자. 우리나라도 현재 FTA에 동참한 국가이며, 그 첫 발은 칠레(2004)와 함께 시작했다.- 1947년: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출범 → 다자간 자유무역 확대 시작- 1995년: WT..
-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5. 03:05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에 되한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 오늘은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해서 한 번 알아보자.1. 휴머노이드 로봇이란? (Humanoid Robot)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처럼 생긴 외형과 동작을 가진 로봇이다. 보통 머리, 몸통, 팔, 다리를 갖추고 있고, 어떤 경우는 표정, 감정 표현, 음성 인식, AI 대화 능력까지 포함되는 경우가 있고, 이런 휴머노이드 로봇의 지향점은 아마도 블레이드 러너 등 SF영화에서 나오는 그런 로봇이 아닐까 한다. 2. 일반 로봇과의 차이점일반 로봇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외형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의 형태에 가깝게 디자인 되지만, 공업용 로봇 등은 팔만 있는 경우, 혹은 얼굴(렌즈) 등만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쉽게 이야기하면 ‘로봇’은 기능 중심 = 일반..
-
세계보건기구 WHO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4. 05:50
코로나(Covid-19) 전후로 기사에서 많이 나오던 국제기구인 WHO에 대해서 알아보자.세계보건기구는 줄여서 WHO라고 쓰는 경우가 많고, Full name은 World Health Organization이다. 국제기구이지만, 실제로는 정치적·의료적 복합체로서의 성격도 갖고 있어서 단순한 단체로 보기는 어렵다.1. WHO 설립 시기와 슬로건세계보건기구는 1948년 4월 7일에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을 겪은 이후, 전 지구적인 질병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UN 산하 전문기구로 출범하게 되었다.세계보건기구의 슬로건은 “모든 인간이 가능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선듯 와닿지 않을 수 있으나, 세계보건기구 출범 추기에 말라리아, 결핵, 천연두 퇴치에 중점을 두었고, 실제 이러한 노력 덕..
-
기초자치단체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3. 05:35
지난 시간에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오늘은 지방자치단쳬와 연관있는 조직인 기초자치단체에 대해서 알아보자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 궁금하면 우선 아래 링크로 가서 보고 오면 좋을 듯!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 알아보자1. 기초자치단체란?주로 언론에서 종종 보이는 용어인 ‘기초단체’는 대한민국의 지방자치제에서 기초자치단체를 줄여 부르는 말이다. 지방자치단체는 크게 두 단계로 나뉜다. (쉽게 이야기하면 광역자치단체 아래 기초자치단체가 있음)★ 광역자치단체 (상위 단위)- 시·도에 해당: 특별시(서울), 광역시(부산, 대구 등), 도(경기도, 충청북도 등)- 서울특별시 / 경기도 같은 큰 단위임.★ 기초자치단체 (기초단체)- 시, 군, 구에 해당- 광역단체 아래에 속해 있는 실제 생활권 중심 단위.- 예..
-
지방자치단체(지자체)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2. 18:20
오늘은 지방자치단체에 대해서 알아보자.1. 지방자치단체란?주로 ’지자체‘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하는 지방자치단체(地方自治團體)는 국가로부터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받아 지역을 스스로 다스릴 수 있는 단체를 말한다.쉽게 말하자면, 지역의 일은 그 지역 주민이 뽑은 사람들끼리 알아서 결정하고 집행할 수 있는 조직이라고 할 수 있다.2. 언제부터 시작됐나?생각보다 지방자지체는 굴곡이 있던 제도로 볼 수 있다. 지방자치법은 1949년에 제정 되었는데, 중간에 중단 되었다가 1995년에 완전한 지방자치제로 부활하게 되어 지금에 이르게 되었고, 지금처럼 주민이 직접 시장이나 군수를 뽑기 시작한 것이 이 때(1995년)라고 보면 된다. 법적 근거는 ’지방자치법‘ (1949년 제정) 부터 시작하여 아래에 이름- 1952년..
-
인공지능 AI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IT&제품 2025. 5. 11. 07:30
최근 Chat GPT 등 대화형 AI 가 화두가 많이 되고 있는 만큼, 오늘은 AI세계를 알아보자1. AI의 정의 및 기준AI는 Artificial Intelligence의 약자이고,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우리가 자줒 들어봤던 인공지능을 뜻하는 단어이다. AI는 인간의 지능을 기계에 구현하려는 기술을 뜻하고, 구체적으로는 학습(learning), 추론(reasoning), 인식(perception), 문제 해결(problem-solving) 등의 인간 지능을 컴퓨터나 기기가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AI도 AI 나름의 기준이 있는데, 크게 보면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하곤 한다. 아직 Narrow AI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얼마 전 세상을 깜짝 놀래킨 chat GPT의 발전 속도를 볼 때 가까운 시기에 ..
-
계절근로자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지식 2025. 5. 10. 06:40
최근 농번기가 다가오면서 계절근로자에 대한 뉴스가 하나 둘 보이기 시작하는데, 계절근로자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자1. 정의계절근로자는 영어로 Seasonal Worker로 볼 수 있는데, 한시적인 농·어업 작업 등 계절적인 일감이 집중되는 시기에 외국인들이 한국에 들어와서 최대 5개월(일부는 8개월)까지 한국에 체류하면서 한시적으로 취업할 수 있게 만든 제도인데, 쉽게 생각하면 여름에 모내기 할 때나 추수할 때 어르신들의 손만으로는 힘든 상황이 오니까, 봄~가을 정도 기간동안 한국에 머물면서 일손을 도와주는 외국인들을 말한다.2. 왜 계절근로자를 만들었을까?80년대만 해도 농촌에 젊은이들이 많았고, 출산율도 높았고, 여름철에 농활이라고 해서 대학생들도 농촌에 방문해서 일손을 덜었는데, 최근 농어촌은 ..
-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전체/경제 2025. 5. 9. 07:55
주식 투자를 하는 경우 종종 듣게 되는 용어인 ETF에 대해서 알아보자.1. ETF란 무엇인가?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한국어로 풀어서 풀면 상장지수펀드라고 볼 수 있다.주식의 형태를 띈 펀드라고 볼 수 있어서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사고팔 수 있는 펀드다. 그래서 혹시 본인이 주식 거래 프로그램이나 앱을 쓰고 있다면, 종목 검색창에 ETF를 치고 검색하면 상당히 많은 ETF를 볼 수 있다.주요한 ETF는 아래와 같으며, 본인이 반도체 시황이 좋은 것 같은데..? 혹은 유가가 오를 것 같은데..? 등 시장에 대한 판단은 있으나 종목에 대한 자신이 없는 경우 ETF를 구매하는 것이 또 하나의 대안이 될 수도 있다. (물론 투자는 본인 판단)- 지수 추종: 코..